바이오헬스케어
-
TSDT플랫폼_셀리버리 / TDDS플랫폼_아이큐어바이오헬스케어 2019. 11. 5. 17:07
1. #약물전달시스템 이란 무엇인가? (1)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의 기능 및 분류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효력을 발휘하도록 세포, 조직, 장기 등으로의 전달 및 방출을 제어하는 일련의 기술을 총칭하는 것이다. 즉,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능을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투여경로와 약의 형태를 말한다. DDS기술의 적용대상 물질은 저분자 합성화합물을 비롯한 펩타이드, 항체, 단백질, siRNA, 치료용 DNA, 바이러스 및 세포 등 거대분자 화합물이다. DDS는 약물의 효능을 극대화하며 투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
오리지널사들이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견제-로슈의 사례로바이오헬스케어 2019. 11. 1. 13:21
지금까지 오리지널사들이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견제해오던 전통적인 방식은 ‘적응증을 추가하면서 특허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주력 제품의 매출이 특허 기간 만료 후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신물질 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제형 변경’이라는 견제 방식이 한 가지 더 추가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견제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한 가지 더 생기는 것입니다. 오리지널사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오리지널 IV 제형을 SC 제형으로 변경한다면, 바이오시밀러 업체 입장에서는 그 만큼 관련 시장 진입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커짐을 의미합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Roche 의 전략입니다. Roche 는 특허 기간이 만료된 기존 ..
-
1호 CAR-T 치료제, Novartis ‘킴리아’에 대한 성공요인바이오헬스케어 2019. 11. 1. 09:10
노바티스 社 의 ‘킴리아’(성분명 티사젠렉류셀, Tisagenlecleucel)는 2017년 8월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받은 세계 최초 CAR-T 세포유전자치료제로 CD19를 표적으로 하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자가 유래의(Autologous) T 세포 면역치료제임 '킴리아'는 CD19에 특이적인 Murine scFv(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CD8의 힌지(Hinge), 막투과성(Transmembrane) 부위 및 4-1BB (CD137)와 CD3 제타로 이루 어진 세포 내 신호자극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항-CD19 CAR을 코딩하는 렌티바이러 스(Lentivirus) 벡터를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변형된 CAR-T 세포유전자치료제임 ‘킴리아’의 최초 품목 허가 시 적응증은 ..
-
RNA 치료제, 봄날이 온다-올릭스,올리패스,바이오오케스트라바이오헬스케어 2019. 11. 1. 08:32
RNA 치료제, 봄날이 온다 단백질 합성과정에서 mRNA 는 중요한 역할을 함. 즉 여기서 mRNA 를 절단하거나 발현을 막게 되면 단백질 합성이 되지 않음. 이러한 원리로 개발된 치료제가 RNA 치 료제로 크게 ASO(antisense nucleotide)와 siRNA 로 나뉨. RNA 치료제는 기존 치료 제들의 작용기전과 달리 표적 유전자로부터 질병을 유도하는 단백질 생성과정을 억제 하면서 약의 효능을 나타내는 신개념 플랫폼임. 글로벌 선두주자로는 Ionis 사와 Alynlam 사가 있으며 국내 대표적인 RNA 치료제 업체로는 올릭스가 있음. DNA 로부터 시작되는 단백질 합성의 원리 DNA 분자는 A, G, C, T 의 4가지 염기로 암호문을 만드는 데 반드시 3개가 만나야 암호문이 된다..
-
Big Deal 의 중심에 선 CAR-T바이오헬스케어 2019. 10. 31. 14:56
big Deal 의 중심에 선 CAR-T CAR-T세포 치료제가 본격적으로 가속 페달을 밟기 시작. 지난 2017년 8월 Novartis가 최초의 CAR-T세포 치료제를 허가 받은 이후 Gilead가 Kite를 118억달 러에, Celgene이 Juno를 80억달러에 인수 CAR-T세포 치료제는 면역세포인 T세포를 ‘키메라’로 만든 것. 건강한 사람(제3자) 또는 환자 본인의 혈액에서 T세포를 추출하여 새로운 유전자 삽입. 도입 유전자는 T세포가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를 발현시키도록 설계. 수용 체는 T세포가 표적세포특이항원을 가진 세포를 사멸 시킬 수 있도록 도와줌. 현재 FDA에 허가된 킴리아(Kymriah; 노바티스)와 예스카타(Yescarta; ..